환경

K-RE100 참여 절차와 인정 방식

razyriver 2025. 8. 8. 15:59

K-RE100
한국형 신재생에너지

최근 ESG 경영과 탄소중립 전략이 기업 필수 과제로 자리잡으면서,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에 대한 수요도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글로벌 RE100 캠페인을 보완한 K-RE100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많은 기업들이 참여를 고려하거나 준비 중입니다.

이 글에서는 K-RE100의 기본 개념부터 참여 조건, 인증 제도, 실무 단계별 포인트까지 실질적인 내용을 정리합니다.

1. K-RE100이란?

K-RE100(Korea Renewable Energy 100)은 국내 기업이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도록 유도하는 자발적 참여 제도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21년 도입한 한국형 제도, 글로벌 RE100이 해외 기업 중심이라면 K-RE100은 국내 여건에 맞춰 실효성 있게 설계되었습니다.

  • 운영 주체: 산업통상자원부
  • 관리 기관: 한국에너지공단
  • 참여 대상: 국내 모든 기업 (중소기업 포함)
  • 참여 방식: 자발적 가입
  • 목표: 100% 재생에너지 전력 사용 달성 및 인증

2. 글로벌 RE100과의 차이점

구분 글로벌 RE100 K-RE100
운영 기관 국제 NGO(The Climate Group) 산업통상자원부(공공기관)
대상 다국적 기업 중심 국내 모든 기업 (중소기업 포함)
인증 기준 글로벌 공통 기준 국내 법·제도 기반 운영
인정 방식 I-REC, PPA 등 일부만 인정 총 6가지 수단 인정
의무성 여부 자발적 선언 자발적 참여 + 인증 구조

3. K-RE100 참여 수단 (6가지 방식)

  • 녹색프리미엄 요금제: 한국전력에서 제공하는 재생에너지 전력 구매 방식
  • 제3자 PPA: 발전사업자와 기업 간 직접 계약
  • 자가 발전: 태양광 등 자체 설비로 직접 생산
  • REC 구매: 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 구매
  • 지분 투자: 발전사업에 자금 투자
  • 에너지 자립섬 연계: 자립 지역 사용분 실적 인정

4. 참여 절차

  1. 참여 신청: 한국에너지공단 홈페이지
  2. 재생에너지 사용 수단 등록: 증빙 서류 제출
  3. 인증 심사 및 등록: 참여 기업 등록
  4. 실적 보고 및 인증서 발급: 연 1회

5. 인증 기준 및 실적 인정 방식

  • 기준 연도: 전력 사용량 대비 100% 목표 설정
  • 인증 단위: 연간 MWh
  • 보고 주기: 연 1회 이상
  • 제3자 검증 가능

6. 참여 효과와 실무적 장점

  • ESG 공시 대응 및 CSR 활용
  • RE100 이행 인증 확보
  • 탄소중립 실적 관리 기반
  • 브랜드 가치 제고
  • 정부 정책 연계 가능

7. 주요 참여 기업 사례

  • 삼성전자: 녹색프리미엄 + PPA
  • 포스코: 자가 발전 + REC
  • SK하이닉스: 글로벌 + K-RE100 병행
  • 중소기업: 녹색프리미엄 또는 REC 방식 활용

 

K-RE100은 단순한 선언이 아, 기업이 실제로 재생에너지 사용 실적을 확보하고 국내외 ESG 기준에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인 이행 프레임워크입니다.

지금은 '언제 참여할까'를 고민할 때가 아니라 '우리 기업에 맞는 참여 방식은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실행에 나서야 할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