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ESG 경영을 위한 녹색프리미엄 활용법

razyriver 2025. 8. 8. 14:41

greenpremium
녹색프리미엄 활용

지속가능한 경영이 기업의 필수가 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ESG 경영 강화를 위한 실질적 방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수단 중 하나가 바로 녹색프리미엄(Green Premium) 제도입니다.
본 글에서는 녹색프리미엄의 개념, 활용 절차, 비용 구조, 장단점 그리고 ESG 경영에 미치는 실제 효과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녹색프리미엄 제도란?

녹색프리미엄 제도는 한국전력공사가 운영하는 제도로 기업이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구매함으로써 재생에너지 사용 실적을 공식적으로 인증받는 방식입니다.

  • 참여 대상: 일정 전력을 사용하는 모든 전기 소비자 (산업체, 공공기관 등)
  • 목표: 소비자가 지불한 프리미엄 비용은 재생에너지 확대 투자 재원으로 활용됨
  • 관련 인증: 한국전력 및 에너지공단을 통해 RE100, K-RE100 대응 인증서 발급 가능

2. 왜 녹색프리미엄이 ESG 경영에 중요한가?

  • ESG 평가 대응: 재생에너지 사용률, 탄소배출 감축 노력에 대한 인증 수단
  • RE100 참여 기반 마련: 한국형 RE100(K-RE100)의 공식 이행 수단
  • 브랜드 가치 및 투자 유치: 친환경 기업 이미지 및 신뢰 확보

3. 녹색프리미엄 신청 절차

  1. 공모 공지 확인 (한국전력공사, 에너지공단 홈페이지)
  2. 참여 신청서 제출 (신청 용량, 계약 기간 등 포함)
  3. 계약 체결 및 고지서 발송
  4. 계약 기간 내 프리미엄 전기료 납부
  5. 재생에너지 사용 인증서 발급 (분기 또는 연 단위)

※ 중소기업은 공공기관·지자체 등과 연계한 컨소시엄 참여 가능

4. 녹색프리미엄의 비용 구조

프리미엄 요금 = 기존 전력요금 + kWh당 일정 단가(공모 시 결정)

예시: 1MWh 사용 시, 약 8,000~12,000원의 추가 비용 발생

5. 주요 기업의 활용 사례

  • 삼성전자: 전 사업장 녹색프리미엄 계약 체결
  • LG화학: 울산공장 등 일부 녹색프리미엄 기반 전환
  • 중소·중견기업: 녹색프리미엄 또는 REC 구매로 실적 확보

6. 녹색프리미엄의 장단점 정리

구분 장점 단점
접근성 별도 설비 없이 참여 가능 연 1회 공모로 시기 제한
인증 효율 재생에너지 사용 실적 인증 자발적이므로 강제력 부족
비용 PPA 대비 초기비용 저렴 누적 비용 부담은 고려 필요
실행 용이성 신청과 절차 단순 시장 수요 많으면 경쟁률 높음

7. ESG 전략 내 녹색프리미엄의 활용 방향

  • K-ESG 평가 기업: 재생에너지 사용 항목 대응 가능
  • RE100 전략 수립 전단계로 적합
  • 중소기업은 산단·지자체 컨소시엄 활용 고려

 

녹색프리미엄은 ESG 경영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전략적 선택지입니다. 탄소중립, RE100, K-ESG 등 국내외 지속가능성 기준이 강화되는 상황에서 이 제도를 적극 활용하는 기업은 ESG 평판 제고와 동시에 실질적인 리스크 대응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규모와 상황에 맞게 녹색프리미엄을 단기 실적 확보 도구 또는 장기 탈탄소 전략의 일환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