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6

세계 기아 현황과 우리가 할 수 있는 작은 기여

1. 숫자로 보는 2025년의 ‘배고픔’ 만성적 기아(undernourishment) :유엔 식량안보 보고서(SOFI 2025)에 따르면 2024년 기준 6억 38만~7억 2천만 명, 추정치 중앙값 6억 7,300만 명이 만성적 기아 상태였습니다. 이는 2022·2023년 정점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팬데믹 이전보다 여전히 높습니다. 특히 높은 식품 물가와 구매력 약화가 회복을 더디게 만들고 있습니다.급성 식량위기(IPC Phase 3+ 이상) :「세계 식량위기 보고서 2025(GRFC)」는 2024년에 53개국 2억 9,500만 명이 위기·긴급·재난 수준의 급성 식량불안을 겪었다고 집계합니다. 이는 2023년보다 1,370만 명 증가한 수치로, 6년 연속 악화입니다.국지적 ‘기근(famine)’ 선언 :..

환경 2025.08.25

원자력 발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대체 에너지와의 비교

1. 우리가 매일 쓰는 전기의 이면 집 안의 전등을 켜고, 에어컨을 돌리고, 휴대폰을 충전하는 일은 너무도 당연한 일상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전기가 어디서 오는지, 어떤 대가를 치르고 있는지는 잘 의식하지 못합니다. 아직까지 전 세계 전기의 60% 이상이 석탄·석유 같은 화석연료에서 생산되며 이로 인해 지구온난화와 대기오염이 심화되고 있습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카드 중 하나가 바로 원자력 발전입니다. 하지만 원자력은 ‘깨끗한 에너지’로 불리기도 하고 ‘위험한 에너지’로 비판받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일반인의 시선에서 원자력 발전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2. 원자력 발전 환경에 좋은가 나쁜가? 장점 : 탄소는 줄이고 전기는 많이원자력 발전소는 전기를 생산할 때 이산화탄소를 거의 배출하지 않습니..

환경 2025.08.22

전쟁과 식량 위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식량 불안

1. 서론 – 전쟁이 부른 인류의 가장 큰 위기병기가 해를 파묻는 대신 전쟁은 이제 ‘식탁’을 흔드는 무기가 되었습니다.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단순한 지역 분쟁을 넘어 전 세계의 식량 안보, 무역 질서, 정세의 안전망을 뒤흔들고 있습니다.오늘 우리는 이 전쟁이 왜 글로벌 식량 위기로 이어졌는지를 그리고 그 충격이 어디까지 확산되고 있는지를 차근히 살펴봅니다. 2. 우크라이나 : 세계의 빵 바구니였던 땅광활한 농경지의 상실우크라이나는 전 세계 밀 수출의 약 10%, 옥수수 16%, 보리 18%, 해바라기유 50% 가까이를 담당하던 식량 강국이었습니다.전쟁 전인 2021년 기준 곡물 수확량은 연간 5200만 톤에 달했죠.하지만 전쟁 이후 농토 22%가 경작되지 못했고 2022/23년 밀 등 곡물 생산은 2..

환경 2025.08.21